건축현장에서는 두께가 150mm이상인 단열재가 쓰이는데 현장에서 잘라 사용한다. 이때 단열재 스티로폼을 쉽고 깨끗하게 자르기 위해 스티로폼 절단기나 열선커터기를 주로 이용한다. 스티로폼은 열에 약하기때문에 얇은 철사를 전기로 고열상태로 만든다음 스티로폼에 대 자르는 방식의 열선커터기를 사용하여 자른다. 일반 칼을 사용하면 칼이 닿은 부분의 스티로폼이 불규칙하게 잘리거나 가루가 날려 지저분하게 잘린다. 열선의 전원은 전기이며 현장에서는 멀티탭에 연결하여 사용한다. 스티로폼 절단기의 파란 조절기와 빨간 조절기가 모두 ON 상태여야 열선이 뜨거워져 작동하게 된다. 안전 스위치를 ON상태로 누른 후 자를 스티로폼에 대면 스티로폼이 깨끗하게 잘린다. 열선이 끊어지는 경우 교체할 수 있으며 고열로 자르는 작업방식이..
단열재를 고정시키는 못의 일종으로 화스너를 사용한다. 단열재를 고정시키기 위하여 플라스틱 못으로 외부에 단열재를 고정하며 금속재 못으로 쏘아 단단히 결속 시킨다. 플라스틱못은 열전달을 줄이며 낮은 매립깊이를 위한 설계로 필요한 천공의 양을 줄일 수 있다. 단열재 화스너 규격 단열재 화스너의 규격은 20-100mm, 110~19mm, 200~220mm, 230~250mm이며 수량은 천개, 5백개, 4백개, 300개가 있다. 화스너 단열재 고정 시공방법 스티로폴 계열 단열재를 벽에 완전히 밀착시킨 상태에서 화스너를 준비한다. 화스너를 단열재위에 자리잡고 망치로 중간쯤 박는다. 화스너를 고정시킬 에어타카로 화스너 중심을 쏘면 내장된 못이 콘크리트에 박혀 단열재가 고정된다. 단열재가 충분히 고정되도록 간격을 유..
야자매트는 코코넛 섬유질로 격자모쟝이 반복되는 패턴의 매트이다. 미끄럼 방지와 동시에 지반을 단단하게 잡아주는 조경 바닥재로 주로 쓰인다. 자연 섬유질이므로 자연 부식되어 토양에 비료화되는 친환경 제품으로 밟았을때 탄력이 있어서 사람의 관절에 무리를 주지 않는 기능을 포함한다. 시공이 간단하고 하자발생이 없으며 유지관리에 편리하다. 야자매트 규격 일반적으로 야자매트의 두께는 30 ~35미리이며 1롤당 10미터이다. 다음은 각규격과 한롤당무게이다. 600 규격: 600*VAR*30mm ,약30kg (10m) 1000 규격: 1000*VAR*30mm, 약45kg (10m) 1200 규격: 1200*VAR*30mm, 약54kg (10m) 1500 규격: 1500*VAR*30mm, 약65kg (10m) 야자매트..
일반 배관용 탄소강관인 ksd 3507 spp는 흑관과 백관이 있으며 백관은 아연도금 된 관으로 배관용으로 사용 가능하다. 성분, 재질 화학성분 (Max) % : p- 0.04, S-0.04 인장강도 Kg/㎟ (N/㎟) : 30 연신율(%) : 30 배관용 탄소강관 KSD 3507 규격 사이즈 호칭 지름 바깥지름(mm) 바깥지름의 허용차 두께 mm 두께의 허용차 소켓을 포함치 않은 무게 kg/m A B 테이퍼 나사관 기 타 관 6 1/8 10.5 ±0.5mm ±0.5mm 2.0 +규정하지 않음 -12.5% 0.419 8 1/4 13.8 ±0.5mm ±0.5mm 2.35 0.664 10 3/8 17.3 ±0.5mm ±0.5mm 2.35 0.866 15 1/2 21.7 ±0.5mm ±0.5mm 2.65 1...
징크 판넬은 아년에 티타늄과 구리등 금속이 첨가된 합금판재이다. 특히 건축환경에서 널리 쓰는 자재로 거멀접기등 돌출이음의 아름다운 선을 살리고 샌드위치 판넬에 접목시켜 기능을 추가하였다. 지붕재나 벽체에 고루 쓰이며 시공성이 좋아 합리적인 금액으로 공사를 할 수 있다. 징크판넬 규격징크판넬은 외피제가 프린트 강판으로 0.5미리이다. 내피제는 도장용융아연금강판으로 0.4에서 0.5미리이며 내부단열재는 난연EPS 또는 일반 EPS가 붙는다. 조립폭은 1천미리, 길이는 2~ 상하차 가능기리가 나오며 두께는 50,75,100,150,155,225,260T가 생산되고 있다. 색상은 징크블랙, 징크그레이, 코르텐밤색, 펄블랙등이 있다.징크판넬 가격 두께 50T,..
흔히 볼수 있는 흰색 스티로폼은 비드법 1종 단열재이다. 회색이나 검은색 스티로폼은 비드법 2종 단열재로 비드법 1종보다 높은 단열성을 보인다. 비드법 2종 특징 비드법 2종 단열재는 제품내에 함유된 적외선 흡수제 또는 적외선 반사체를 이용하여 복사열의 영향을 상쇄시켜 낮은 밀도에서도 우수한 단열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같은 밀도의 두께 스티로폼보다 두배 이상의 단열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냉난방을 감소시킬 수 있어 단열재로 적은 투자비용으로 보다 높은 효율을 얻을 수 있다. 최소한의 비용으로 외벽을 시공하여 벽의 두께 또는 기초 두께를 최소한으로 줄일 수 있다. 열가교 현상을 피하기 위해 개별적으로 단열시공을 할 필요가 없다. 비드법 2종을 이용한 복합단열 시스템으로 여름에는 시원하고 겨울에는 따뜻하여..
원격으로 비밀번호를 바꿀수 있는 도어락은 펜션이나 숙박업소에서 주로 설치되고 있다. 도어락회사중 삼성도어락은 일부 모델에서 NFC를 지원하여 원격 조정 가능한 스마트 도어락을 출시하고 있다. 삼성의 IOT 도어락은 SHP-DR700, SHP-DR900, SHP-DP960 등의 3가지 모델을 출시하고 있다. 삼성 도어락은 50만원대 전후여서 가격에 부담을 느끼는 경우에는 게이트맨 도어락에 스마트 기기를 추가하는 방식으로 원격조정 도어락을 설치할 수 있다. 게이트맨 원격조정 도어락 스마트리빙 게이트맨 스마트리빙은 스마트폰 앱을 통한 기능설정 및 문열림 닫힘등의 기능을 설정할 수 있다. 주요 기능 게이트맨 스마트리빙의 주요기능은 다음과 같다. 위치기반 스마트키 서비스로 열쇠나 비밀번호 누름없이 스마트폰이 도어..
화이트계열의 벽돌이 신축 주택의 외장재로 각광 받으면서 일반 벽돌보다 조금 길어 개성넘치는 흰벽돌이 현장에서 다수 시공되고 있다. 코코벽돌의 알래스카290은 가로 290 mm의 롱브릭으로 화이트 계열의 미색에 깔끔한 외관을 원하는 주택의 미장벽돌 외장재이다. 알래스카290 스펙 생산 : 코코벽돌 형택 : 미장벽돌,롱브릭 크기 : 가로 290 X 세로 90 X 높이 48 시공면적 : 회배당 57장, 평당 188장 포장단위 : 적재량 1파레트 1040장 25톤 파레트 개수 : 15개 메지선택 메지는 화이트, 비둘기색, 농회색을 선택할 수 있다. 화이트 메지는 알래스카290 색상과 비슷하여 얼핏보면 페인트를 칠한것 같이 전체적으로 흰색으로 보인다. 비둘기색 메지는 라이트그레이로 가장 노말한 분위기를 표현할수 ..
철근은 표면에 제품표시 사항을 표기하고 있다. 철근 한 마디마다 롤마킹을 하는데 원산지와 제조사명, 호칭명, 종류의 기호등 5가지가 기본으로 표시된다. 철근 마킹 해석 원산지 : 철근의 원산지를 표기한다. 예를 들어 한국산 Korea-KR, 일본산 Japan-JP, 중국산China-CN 제조자명 : 대한제강(주)-DH, 동국제강 - DK, 한국제강-HK, 현대제철 - HS, YK스틸 - YK 호칭명 : 예를들어 D16은 16으로 표기한다. 종류의기호 : 예를들면 대한제강의 경우 다음과 같이 표기한다. SD300-표시없음, SD400-4, SD500-5, SD600-6, SD400S-4S, SD500S-5S,SD600S-6S, SD400W-4W, SD500W-5W) 철근의 용도별 표기 및 태그색상 철근 마..
컬러강판은 강판에 도장 코팅 처리를 해 내구성을 높인 제품으로 칼라강판이라고도 불리는 금속 지붕재이다. 강판에 도장을 했기때문에 내구성이 폰으며 다양한 색상과 무늬형태로 표현하여 용도가 다양하며 시공성이 우수하다. 컬러강판 생산업체 1. 동국제강 동국제강 컬러강판은 한국에서 최초로 컬러강판 사업을 시작햇으며 1972년 컬러 강판 생산라인을 첫 가동했다. 대표적인 컬러강판 브랜드는 럭스틸이며 건축용 내외장재로 쓰이는 프리미엄 강판 브랜드이다. 가전용 컬러강판 브랜드는 앱스틸이며 다양한 가전용 컬러 강판으로 쓰이고 있다. 항균기능을 추가한 컬러강판으로 럭스틸 바이오를 생산하기도 한다. 2. KG동부제철 동부제철은 컬러강판 통합 브랜드 엑스톤이 있다. 화재예방에 특화된 NF불연컬러강판, 세균 증식 억제 기능의..
알루미늄 징크는 내식성이 뛰어나 해안가 주택 건축물의 지붕재로 많이 쓰인다. 자연광에서 해리되기 어려운 C-F의 체인을 가지고 있으며 자외선에 강하고 지붕재로 색상의 변화가 거의 없다. 알루미늄징크의 불소수지는 가볍고 인강장도는 높으며 물리 화학적 안정을 가졌다. 자외선에 강해 옥외 노출에도 광택저하가 없고 냉려성과 내 약품성이 강하여 내수 수명이 길다. 알루미늄징크 색상 색상은 그레이, 오닉스블랙, 쿨그레이, 블랙등이 있다. 예:하마메탈 알루미늄 알루미늄징크 단면도 최상판은 상도 불소수지로 덮여있으며 하도, 전처리, 아연층으로 겹겹이 쌓였다. 최 중심에는 냉연강판이며 그 밑으로 아연층, 전처리 가장 밑에는 기능동 도료로 구성된다. 예:하마메탈 알루미늄 징크 두께 규격 알루미늄 징크 두께는 07.T이다...
강마루의 품질이 점점 높아지는 가운데 lx하우시스에서 새로운 강마루 모델인 강그린프로가 출시되었다. 수많은 강마루 브랜드중에서 lx하우시스 강마루는 높은 품질과 많은 시공현장에서 사용되어 꾸준히 인기를 끌고 있다. 강그린프로는 섬유질을 가공해 만든 고밀도 보드로 만들어 강마루의 단점인 찍힘이나 긁힘등에 강한 품질을 구현했다. 강한 내구성을 강점으로 내세운 강그린프로 강마루는 한장의 단판으로 구성된 두꺼운 보드이다. 이전의 일반적인 강마루는 여러장의 단편을 접착한 합판구조가 대부분이었는데 강그린프로는 단판으로 내구성이 매우 우수하다. 하부 콘크리트 바닥 접촉면에 특수구조의 우드 단판층을 추가하여 밀착력을 높여 접착력을 높였다. 따라서 시공시 들뜸이나 뒤틀림등의 하자를 줄여 시공 품질을 높일 수 있다. 강그..
파쇄석은 주차장이나 마당에 까는 자갈이다. 파쇄석은 지역 골재상에서 파는데 가격의 변동폭은 큰 편이다. 또한 무게가 나가기때문에 운임비가 많이 소요되므로 비교적 근거리의 골재상에서 구입하는게 좋다. 파쇄석 가격 현재 파쇄석의 가격은 1루베(1세제곱미터)당 1만4천원이며 25톤의 40km거리에 운임 15만원정도가 든다. 25톤 한차에 18루베정도가 들어간다. 골재생산공장이 비교적 저렴한 편이다. 골재 자체는 저렴하나 덤프트럭등의 운임이 많이 나오므로 근거리 수배가 관건이다. 신축이 아니라 구축의 전원주택에 마당에 나는 풀을 감당하기 힘들어서 파쇄석을 까는 경우도 있다. 처음 전원생활의 낭만에 대한 기대감으로 잔디를 심는경우가 많은데 하루종일 잔디를 관리하다보면 마당에 파쇄석을 깔아버리는 경우가 많아진다. ..
러시아 우크라 전쟁으로 유연탄이 폭등하여 국내 시멘트 가격에 큰 영향을 미칠 전망이다. 국내 유연탄 수입 비중의 75%를 차지하는 러시아산 유연탄이 가격 급등과 함께 수입이 중단되었기 때문이다. 유연탄은 시멘트의 생산원료인데 시멘트 1톤을 생산하는데 소요되는 유연탄은 약 0.1톤이다. 시멘트 생산 원가의 40프로 이상을 차지하고 있는 유연탄은 연중 최고치를 찍고 있다. 러시아 뿐만 아니라 인도네시아와 호주산 유연탄 가격도 연중 최고가에 거래되고 있으며 광산 채굴 인력 부족에 따른 인건비와 물류비용의 증가, 러시아 우크라 전쟁으로 인한 유연탄 품귀 현상으로 원인으로 꼽힌다. 국내 시멘트 생산 1위 기업은 쌍용C&E 이지만 매출이 늘어난 반면 영업이익은 감소했다. 삼표시멘트, 한일현대시멘트도 마찬가지로 매출..
석축을 쌓는데 업체를 선정하는 가장 좋은 방법은 주변에 잘 쌓은집에 가서 석공의 연락처를 받는것이라고 한다. 그정도로 석축을 쌓는 일은 인근의 실력자를 찾는게 좋으며 실력의 차이가 많이 나는 작업이기도 하다. 누구가 쌓을 수 있지만 견고하고 튼튼하게 석축을 쌓는 일은 많은 수고로움을 동반하기 때문이다. 석축공사 시방서 일반사항 석축 기초의 깊이는 시공지역의 동결심도보다 최소 700 mm 이상으로 한다. 작업개시 전에 될 수 있는 한 많은 석재를 현장에 준비하여 마음대로 골라 쓸 수 있게 한다. 옹벽용 석축의 규준틀은 석축 앞면과 뒤채움의 후면에 설치한다. 재활용 석재는 완전히 청소한 후 사용한다. 메쌓기의 경우에는 쌓는 석재의 접촉면의 마찰을 크게 하여 외력에 충분히 견디도록 앞면 접촉부⋅뒷고임돌 등을 ..